대한민국 철도청 4100호대 디젤 기관차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대한민국 철도청 4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1966년 6월에 도입되어 1998년에 운행이 중단된 총 10량의 기관차이다. 이 중 5량은 경부고속철도 건설 공사에 사용되었으며,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사용이 중단되었다. 4량은 고철로 매각되었고, 1량(4102호)은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 보존되어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-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
1963년 10월에 도입된 대한민국 철도청 4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총 15량으로, 일부는 4300호대로 개번되었으며 현재는 모두 운행이 중단되고 2량이 월정리역과 독립기념관에 보존되어 있다. - 대한민국의 디젤 기관차 - 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
대한민국 철도청 2100호대 디젤 기관차는 철도 디젤화와 증기 기관차 퇴역 후 입환용으로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1,000마력형 기관차였으나 2006년 모두 퇴역하였고 일부는 동태 보존되어 호랑이 도색으로 알려져 있다.
대한민국 철도청 4100호대 디젤 기관차 | |
---|---|
차량 정보 | |
차량명 | 4100호대 디젤 기관차 (G12) |
동력 방식 | 디젤 전기 |
제작사 | GMC/EMD |
제작 연도 | 1966년 |
도입 단가 | 182,605달러 |
운영 회사 | 한국철도공사, 한국철도시설공단 |
생산량 | 10 |
기술 사양 | |
엔진 | EMD 12-645E |
전동기 형식 | D32E |
기어비 | 62:15 |
차륜 배열 | Bo-Bo |
차륜 직경 | 3089 |
전동기 출력 | 920 |
출력 | 1,310 |
견인력 | 19,100 kgf (187.3 kN; 42,108.3 lbf) |
설계 최고 속도 | 105 |
궤간 | 1,435 |
차량 중량 | 85 |
축중 | 21 |
제동 방식 | 공기제동, 발전제동 |
물리적 제원 | |
전장 | 14,325 |
전폭 | 3,080 |
전고 | 4,426 |
운행 및 기능 | |
용도 | 여객·화물 열차 견인 |
2. 현황
총 10량이 도입되어 모두 퇴역하였다.[1][2][3][5] 이 중 5량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 인수되어 경부고속철도 공사에 투입되었으나,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. 공단에 인수된 차량 중 4량은 고철로 매각되었고, 1량(4102호)만이 보존되고 있다.[6][7][8]
2. 1. 차량 목록
총 10량이 도입되어 모두 퇴역하였다.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 5량이 인수되어 고속선 공사에 사용되다가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어, 그 중 4량은 고철 매각 되고 1량만이 보존되고 있다.차호 | 시리얼[1][2] | 도입 시기[3] | 운행 중단 시기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4101호 | 31399[4] | 1966년 6월 | 1998년[5] | |
4102호 | 31400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4월 코레일에서 재인수하였다.[6]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서 보존되고 있으며,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. | ||
4103호 | 31401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.[7] | ||
4104호 | 31402 | |||
4105호 | 31403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06호 | 31404 |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. | ||
4107호 | 31405 | |||
4108호 | 31406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09호 | 31407 | 1971년 재생.[5]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10호 | 32086[9] |
2. 2. 보존
총 10량이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모두 퇴역하였다. 이 중 5량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 인수되어 경부고속철도 건설 공사에 투입되었으나, 철도안전법 개정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. 공단 인수 차량 중 4량은 고철로 매각되었고, 단 1량만이 보존되고 있다.유일하게 보존된 차량은 4102호이다. 이 차량은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4월 코레일이 재인수하였다.[6] 현재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서 보존 중이며,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.
아래는 각 차량의 도입 시기, 운행 중단 시기 및 최종 상태에 대한 상세 정보이다.
차호 | 시리얼[1][2] | 도입 시기[3] | 운행 중단 시기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
4101호 | 31399[4] | 1966년 6월 | 1998년[5] | |
4102호 | 31400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4월 코레일에서 재인수하였다.[6]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야외 전시장에서 보존되고 있으며, 한국철도공사 선정 철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. | ||
4103호 | 31401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12년 고철 매각되었다.[7] | ||
4104호 | 31402 | |||
4105호 | 31403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06호 | 31404 |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. | ||
4107호 | 31405 | |||
4108호 | 31406 |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09호 | 31407 | 1971년 재생.[5]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2008년 고철 매각되었다.[8] | ||
4110호 | 32086[9] |
2. 3. 매각
경부고속철도 건설을 위해 4100호대 기관차 중 5량(4102, 4103, 4105, 4108, 4109호)이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으로 인수되어 고속선 공사에 투입되었다. 그러나 이후 철도안전법이 개정되면서 이 기관차들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되었고, 보존이 결정된 4102호를 제외한 4량(4103, 4105, 4108, 4109호)은 고철로 매각되었다. 이 외에 4106호 역시 2005년에 고철 매각되었다.고철로 매각된 차량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.
차호 | 매각 시기 | 비고 |
---|---|---|
4103호 | 2012년 |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고철 매각됨.[7] |
4105호 | 2008년 |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고철 매각됨.[8] |
4106호 | 2005년 | 고철 매각됨. |
4108호 | 2008년 |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고철 매각됨.[8] |
4109호 | 2008년 |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에서 인수하였다가 고철 매각됨.[8] 1971년 재생 이력 있음.[5] |
참조
[1]
웹인용
EMD 31400 to 31499
http://www.trainweb.[...]
2006-07-10
[2]
웹인용
Korean National Locomotives
https://www.thediese[...]
2017-03-12
[3]
서적
한국철도차량 100년사
철도차량기술검정단
1999
[4]
웹인용
EMD 31300 to 31399
http://www.trainweb.[...]
2005-04-24
[5]
서적
한국철도차량 100년사
철도차량기술검정단
1999
[6]
뉴스
코레일, 희귀 기관차 철도문화재로 영구 보존
https://news.naver.c[...]
뉴시스
2012-04-24
[7]
웹인용
불용품(디젤 전기 기관차 등) 매각 입찰공고
http://www.onbid.co.[...]
2012-01-04
[8]
웹인용
불용품 폐기관차 해체.반출 매각
http://www.onbid.co.[...]
2008-06-30
[9]
웹사이트
EMD 32000 to 32099
http://www.trainweb.[...]
2015-05-31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